시작과 끝에서 보며 본 것을 제자리에 두기

개개인의 윤리에 대한 연구는 철학의 주제라기보다는 심리학이나 사회학에 속해야 할 이유

    우리의 여타 개인들에 대한 구성이

이러한 바이어빌러티에 의존한다는 점은, 

여타 합리적 지식이론들과 마찬가지로 

구성론에서도 흐릿한 영역, 윤리, 

그 방향으로 이끄는 귀결을 하나 갖고 있다. 

 

그 영역이 불명료함에도, 

개체가 생각하기와 행하기 방식들의 

상호주관적 바이어빌러티를 확립하려면 

타자들의 확증이 필요 하다는 사실에는, 

자율적 구성자로서 타자들에 대한 염려/배려가 수반된다. 

 

우리가 어떤 식으로든 

그들을 우리 생각에 따르도록 강제할 경우, 

우리는 그들을 확증 제공자로서는 

실상(ipso facto) 무력화시켜 버리는 것이다. 

 

    사실, 

이것은 칸트의 ‘실천 명법’의 또 다른 정식이다:

 

당신 자신만이 아닌 타자들한테도 있는 

인간성을 결단코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다루는 방식으로 항상 행하라. (Kant, 1785, p.429) 

 

    생각하기 존재들은, 그의 설명으로, 

그들 각자의 목적(存在-理由)이 있으며, 

그것은 결코 다른 여하한 목적으로도 교체되면 안 된다 (ibid., p.428). 

 

엄밀히 말해, 이는 

‘윤리적’ 준칙이 아닌 

윤리의 필수 전제 조건이다. 

 

이 조건으로 주장될 수 있는 것은, 

단지,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인간성을 배려해야 하며, 

그들을 대상으로 다루지 말아야 한다는 것뿐이다. 

 

모든 윤리 철학들은 

암묵적으로 이러한 전제(當然視)를 기초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들은 

그것이 왜 그러해야 하는지 

말하지 않는다. 

 

구성론은 

그 기본적 이유를 최소한 하나는 제공한다. 

 

이러한 조망에서, 

개체로서 주체한테 

생각하기와 행하기의 상호주관적 바이어빌러티를 확립하기 위한 

여타 다른 사람들의 필요(必要)란, 

그러한 타자들에 대해 조마조마(念慮/配慮)하는 마음을 

기초로 해서만 생길 수 있는 것이다. 

 

타자들이 배려되어야 하는 까닭은, 

더욱 견고한 경험적-실재(現實) 구성에 있어 

그 무엇도 그들을 대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자체로는 

여하한 윤리–준칙도 구성하지 않지만, 

윤리 발달을 위한 합리적 기초 하나를 주고 있다. 

 

내 강조하는 바, 

행위나 사고 스킴들의 바이어빌러티는 

언제나 특정 목표들과 관련되어 가늠되기에, 

윤리(ethics) 자체는 정말이지 

실제로 이러한 바이어빌러티에 기초할 수는 없는 것이다 – 

그래서, 

윤리가 반드시 그 자신을 현시해야 하는 곳은 

바로 목표들 선택하기에서다.

 

       **ethics: 한 개인의 행동을 제어하는 도덕적 ‘원리(準則)들 또는 원리들의 체계

 

에서,

 

<윤리가 반드시 그 자신을 현시해야 하는 곳은 바로 목표들 선택하기에서다.>라면,

 

윤리학(ethics), 즉, 

‘개개인들한테 있을 행위 준칙들의 체계에 관한 연구’는

철학의 분과에 속하기보다는 

심리학과 사회학의 연구 주제에 속하는 것일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인지발달의 성숙에 따른 규범들 조정, 즉, 

도덕(moral)은 모순되는 규범들로 가를 칠 수 있으며,

또한, 

사회적 여건(제약들)에 따른 목표 목록들 조정, 즉, 

윤리는 오로지 회피나 제약으로서 좌절을 야기함으로써만 

변할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해서, 

특정 개인의 도덕을 조성하는 

규범들의 기초적 원리로서 

윤리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은, 

 

그 개인이 추구하는 목표들 가운데 나타나는 

일련의 행위들이다.

RC(1995) 역자 주석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