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과 끝에서 보며 본 것을 제자리에 두기

장애와 유익함이 수행에 미치는 영향
before 2012

입력이 시스템한테 의미하는 바? - (2024) 감회

 

상담인 (자발적으로): ‘지난번 X에 대해 나한테 말한 거 기억나세요? 

W.L. (지난 번에 X를 언급한 적이 없음을 확신하기에 아무 말 없이 기다리고 있다)

상담인: ‘엄청난 도움이 되었네요.’ (Lax,1993)

 

입력량의 증가는  시스템이 그 입력에 반응한다는 조건에서는

그 시스템에 가해지는 제약의 증가를 의미한다.

 

해당 시스템이 증가하는 제약들을 처리하면서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면, 증가된 제약은

시스템한테 문제될 이유가 없겠지만,

그걸 처리하는 데 드는 노고, 즉 시공간을

점유하는 점에서 시스템의 리소스를 

잡아먹는다는 점은 분명하다.

 

시스템의 캐퍼시티를 넘어서는 입력량에 대해,

시스템이 자신을 방어하는 방식은

입력에 대한 무시 또는 의도적 변형이다.

 

그 결과는, 자기-파괴적이다.

 

관찰자 관점에서, 타자들의 개체 자율성의 침해 정도이며, 

유기체 자신의 관점에서는, 자기 기만의 정도다.

 

목하 바로 쓸 수 있는 것들로부터 시작 경영할 필요. ....

 

관찰자 관점에서, 유기체 환경의 변화와 무관하게 입력량을 증가, 변화시킴으로써,

유기체 입장에서, 유기체는 인지하는 제약의 수와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 가능한 도구의 수가 감소된다.

 

유기체 관점에서, 사용 가능한 것과 가능하지 않은 것의 구별은 자신의 환경 구성에 의존한다.

하지만, 억압적 상황에서 구성된 유기체 환경에 적응하려는 유기체의 도구들은 대체로 자기 기만적이다.

 

이것은, 우리 경험 직관에 따른 확실성으로,

구성원 대다수가 감당하기 힘든 크기의 권력에

유효하지 않은 도구로 개인들이 맞설 때 벌어지는 일이다. 

(가슴저림의 기억이 생생하다.)

 

반성 & 오토노미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