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과 끝에서 보며 본 것을 제자리에 두기

배우기

빤야의 전제 1: 빤야의 한계

A.  화살의 비유

 

화살을 쏠 수 없는 경우에는,

화살의 과녘이 있네, 없네 하는 것도,

맞은 것이 있네, 없네 하는 것도,

다들 헛소리가 아니면 무엇일꼬?

 

오로지 화살을 쏠 수 있는 경우에만,

과녘이 있네 없네 & 맞춘 것이 있네 없네 하는 것에,

생각도, 말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어떤 화살도 쏠 의지(Saṅkhāra)조차 없다는 것은,

그 어떤 생각(Viññana)도 들 여지가 없지 않겠는가!

 

 

 

B.  이도 저도 아닌. 

 

모름으로 '참작'하여 경외할 순 있겠지만, 

가리킨다 한들 가리켜 질 바 없으니,

있다/없다로는 가늠할 바가 없다;

있다/없다는 찝히는 순간, 분별이다.

 

찝히는, 멸하는 찰나에도 그저 '참작'만 할 뿐,

찝히기 전, 멸한 후에는 '참작'조차 할 수 없으니,

여하한 형용도 허락되지 않는다;

 

살고, 겪는 어느 순간 순간 확연할 바가 있으나,

가리켜 명명하는 순간 사라져 껍데기만 남는다. 

하여, 무어라 칭한들, 그저 말문만 막할 뿐.

 

 

 

C.  한계의 정식화들

 

가르킬 수 없음(what is not)은 말하지 말아야 한다(what must not be).

가르킬 수 있음(what is)만을 말해야 한다(what must be).

가르킬 수 있음에 '있다/없다'가 가능한 것이다.

가리킬 수 없음에 존재 유무 거론, 말인즉,

있음/없음의 가리킬 수 없음에 대한 투사는 망상의 시작이다:

투사된 것과 투사되기 전 것의 비교가 가능하다 우겨댄다;

가리킬 수도 없는 데 투사가 가능하다고 하는 것이다.

이렇게 재현의 사용을 정당화 한다: 사기의 기초다:

진리는 거짓말쟁이의 <최고의> 발명품이다.

 

실상은 언제나 '목하 애쓰기(sati)' 이상이 아니다:

삶의 시작이자, 중심이자 그리고 끝이 함께 한다.

모든 형이상학의 뱃속이 까뒤집히는 '때, 곳'이다.

 

 

D. 수행의 중요성 

 

붓다가 왜 십사무기에 답하지 않았는지는, 

그 십사무기가 형이상학의 내용들임을,

존재론이 형이상학을 전제로 하고 있음을,

이해했다면, 빤야의 이해 또한 가능하리라.

수행이 깊어지고 닙빠나에 이르면,

확연해질 일이다.

 

 

 

배우기 & 익히기의 다른 글